KRX 금시장 장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NH증권앱 > 전체메뉴 > 기타시장 > 금현물 주문 누르면 계좌가 필요하다고 나옴

KRX금시장이 뭘하는 곳인가요?

국제표준금거래소에서는 금거래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고객이 믿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을 마련해 귀금속시장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KRX 금시장 장점 KRX 금시장 장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00 골드뱅킹 하는게 있는데 요즘 수익률은 어떻습니까? 국제표준금거래소 3399
299 온라인으로 결재하면 집으로 금이 오는겁니까? 국제표준금거래소 3142
298 온라인으로 골드바를 살 수 있습니까? 장점이 무엇입니까? 국제표준금거래소 3125
297 사실은 그 뒷금이 거래량이 훨씬 많죠? 국제표준금거래소 5054
296 요즘 금투자, 금을 사시는 분들이 실제로 많습니까? 국제표준금거래소 2735
295 오늘 국내 금값시세는 ?? 국제표준금거래소 3786
294 글로벌 시장의 금시세란 어디 금값을 기준으로 하는겁니까? 국제표준금거래소 3321
293 요즘 국제 금시장에서 금값이 많이 떨어졌나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590
292 가장 좋은 금융상품은 어떤 금융상품일까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887
» KRX금시장이 뭘하는 곳인가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369
290 금투자 시작해보려고 하는데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050
289 금투자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금투자의 장점은? 국제표준금거래소 3052
288 금의 가치에 대해서 . 금이 왜 가치가 있는물건인가요.. ? 국제표준금거래소 3268
287 국제적인 금거래단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국제표준금거래소 2933
286 24K는 순금이죠? 24K인데 순금이 아니기도 하나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012
285 금의 순도에 대해서 잘 아시는분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국제표준금거래소 3560
284 금의 색깔은 왜 금색이며(?) 금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 금의 역사? 국제표준금거래소 4120
283 골드,, (금)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가 된 단어인가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329
282 금이란 무엇인가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110
281 에메랄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국제표준금거래소 3286

한국표준거래소
[종로본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8길 101, 삼보빌딩 4층(종로3가역 8번 출구 건너편, 이마트 편의점 건물)
[천호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006 브라운스톤 2층 202호(천호역 7,8번 출구 바로 앞)
대표자 : 배광수 | 사업자등록번호 : 215-87-40435 | 통신판매신고업번호 : 제2015-서울종로-0344호
전화번호 : 1644-7967 | 팩스 : 02-487-5242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세제 혜택에 미니금 상장까지…KRX금시장 '쑥쑥'

KRX금시장 개설 3년 만에 거래량 4배 성장
미니금·연계상품 등 추가 활성화 대책 마련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높아지면 금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도 따라서 높아진다. 하지만 실물로 금을 살 경우 가격 투명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매도 시 수수료와 부가가치세가 붙어 시세 차익을 보기 쉽지 않다.

은행 골드뱅킹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매수 수수료와 매도 수수료가 각각 1% 수준이고, 배당소득세를 매매차익의 15%가량 납부해야하므로 이 역시 투자 수익이 실제 보다 준다. 낮은 수수료와 면세 혜택을 누리면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주식처럼 금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KRX금시장이 KRX 금시장 장점 개설 당시 기대감을 키웠던 이유다.

KRX금시장이 개설 3주년을 맞이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RX금시장은 올 들어 일평균 거래량 21.8kg, 일평균 거래대금 9억9000만원으로 지난 2014년 개설 초기 대비 각각 289.3%, 312.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세 면제, 관세율 비과세, 법인세 경감 등 정부의 세제지원과 KRX의 수수료 면제 등 적극적인 거래활성화 정책이 시장 확대에 큰 역할을 했다.

시장 개설 이후 현재까지 KRX금시장에서 총 8803kg이 거래됐으며, 금액으로는 약 3965억원이 거래됐다.

▲ 출처=한국거래소

KRX금시장 가격은 지난 20일 기준 4만4720원으로 시장 개장일 4만6950원보다 2230원(-4.8%) 하락했다. 이는 국제 금시세 등락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국제 금시세 대비 평균 100.46% 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됐다.

KRX금시장 매매 수수료는 0.2%로 은행 골드뱅킹 1% 보다 현저히 낮으며, 1g 단위로 5만원 내외 소액투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증권사에서 일반상품 계좌를 개설한 후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전화,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을 통해 금을 언제든 주식처럼 손쉽게 거래할 수 있어 간편하다.

한국거래소는 연내 소규모 실물자산 투자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미니금(100g)을 상장하고, 금관련 펀드·선물·ETF 등 연계상품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27일부터 금현물지수를 발표해 지수를 활용한 금ETF의 연내 상장이 가능할 계획이다.

한국거래소는 "표준화된 금 유통시장 개설로 개인투자자에게 새로운 실물자산 투자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질적성장을 거듭했다"며 "국내 금시장의 양성화와 투자자 확대를 위해 미니금 상장과 연계상품 상장을 통해 시장 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루 한열매 하루 한열매

앞에 포스팅에서 금이 왜 오르는지, 또 언제 오르는지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놨으니 내 코 묻은 소중한 돈 투자하기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금 투자 방법 5가지 (추천방법,달러와 차이) 역대 사상 최고치 찍음..

대표적인 안전자산 금 vs 달러 대표적인 안전자산은 달러와 금이다. 둘의 공통점은 '안전자산'이기에 위기에 강하다. 경제위기나 지금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등 위기가 올 때 가격이 오른다. (반�

◎ 가성비 금 투자 방법 :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으로!

앞서 금 투자 방법에는 5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에서 4가지 방법은 그냥 무시하고 가장 안전하고 저렴하게 금 거래를 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만 하시면 됩니다. 그건 바로 한국거래소(KRX) 금 시장에서 거래 하기!

금 투자 방법 중 직접 본인이 금 실물을 사는 방법도 있고 펀드, ETF 처럼 간접투자 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장 가성비 넘치게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왜 가성비일까?


먼저, 한국 거래소 금시장은 우리가 주식 사듯이 금을 매매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만들어논 시장을 KRX 금시장 장점 말합니다. 가성비다라고 하는 이유는 세금이 비과세라는 큰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이나 펀드나 ETF는 사고 팔때 무조건 배당소득세 15.4%가 붙는데 이것을 KRX 금시장에서 거래하게 되면 매매차익에 대해서 세금이 0원 이라는 쌉쌉강점이 숨어있어요. 그말은 즉슨 시 작부터 몇 푼 먹고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 초간단 거래 방법은?

금 전용계좌 를 개설해야함


제가 현재 잘 이용하고 있는 증권사는 NH투자증권입니다. 이 증권사에서 현재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거래하고 있는데 다른 증권사도 몇개 써봤는데 NH투자증권(나무)사용하기 편하고 어렵지 않아서 좋아요.
일단 저는 이미 증권사에 주식거래를 하고 있어서 CMA계좌가 있지만 이 계좌가 이미 있더라도 금 전용 계좌 를 따로 만들어야 합니다. 증권사에서 거래 해 본적이 없어서 CMA 계좌가 없으신 분들은 일단 증권사에서 계좌 개설 후 금 전용 계좌를 만들어야 겠죠.


② 알아보기 귀찮아.. 그냥 증권사 하나만 추천 해줘.

여기서 처음 증권사에서 계좌를 튼다면 거래수수료가 무료이거나 가장 저렴한 곳을 알아보고 개설하는게 중요합니다.

주식거래를 할 때는 주식거래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요즘 주식거래를 하게 하기 위해 & 자기들 증권사로 고객들을 유치를 하기 위해 대부분 증권사들은 현재 주식거래 수수료는 무료 이벤트로 많이들 해주는 편입니다.

이와 같이 주식 뿐만 아니라 금을 거래할 때도 금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이 때 가장 싸는 것이 유리하니 수수료가 KRX 금시장 장점 가장 낮은걸 선택하는게 이득입니다.

제가 우리나라에서 큰 증권사 5곳 정보 비교해보았습니다.

미래에셋증권 , NH투자증권 , 한국투자증권, 메르츠증권, 유안타증권

특이하게 미래에셋대우 에서는 매매수수료외에 '보관수수료'라고 해서 금현물은 매수 후 계좌 내 잔고가 존재할 경우 계좌별 매입 금 잔량을 시가로 환산한 금액의 0.00022%(부과세포함) 발생하며, 한달 합계 금액이 익월 첫 영업일에 금 현물 계좌에서 자동을 출금처리가 된다고 합니다.

별도 보관수수료가 없었다면 미래에셋대우 증권사가 가장 수수료가 저렴해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금을 보유할 시 그냥 보관 수수료가 없는 곳을 이용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금은 자고로 장기투자이기 때문에 그 외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이 괜찮아 보이네요.


③ 금 종목 매수하기


이제 1,2번까지 다 진행이 되었다면 증권사 어플 켜세요! 장이 열리는 시간 평일 9시~3시30분에 이제 주식처럼 매수를 하면 됩니다.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 상장된 상품은 금 99.9K , 미니금 100g 이렇게 두개가 있어요. 두 상품의 차이는 KRX 금시장 장점 거의 없고,둘다 1g단위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원하는 금액에 원하는 때 매수, 매도를 하면 됩니다.

NH증권앱 > 전체메뉴 > 기타시장 > 금현물 주문 누르면 계좌가 필요하다고 나옴

맨 아래 '금현물계좌(KRX전용)' 클릭 > 하라는대로 진행

④ 안전자산의 대한 마인드 셋팅


이런 금과 달러같은 안전자산들은 단기적으로는 매수매도 하면서 수익을 내기 어렵 기 때문에 이것들은 꾸준히 적립식으로 매수하고 최근과 같은 위기상황에 딱 매도하는 전략을 취하는게 현명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주기적으로 '매 월급날마다(한달에) 1g씩만 사놓자'라는 생각으로 정해놓고 꾸준히 매수하려고 합니다. 지금 현재는 너무 많이 올라서 사지말자! 할 수도 있지만, 금은 단기적인 차익을 노리는 투자가 아니기 때문에 내 자산 포트폴리오에 꾸준히 넣어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율을 잘 맞춰 경기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폭망하지 않는 부자들의 포트폴리오를 만들려고 노력해보려고요!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달러 투자 방법 3가지 (환율 KRX 금시장 장점 전망)

▶ 달러투자를 왜 해야할까? 결론만 먼저 말하자면 , 달러 보유 목적에는 3가지 정도로 볼 수 있다. ① 환차익 (환율변동에따라 이익이 발생한 경우) ② 안전자산 장기보유 (경제위기를 대비하여

월간중앙

세제 혜택 좋은 KRX금시장 도전할 만 금을 실제로 내 집 금고에 보유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면 KRX 금시장을 이용하는 게 좋다. KRX금시장은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금 거래시장이다. 지난해 3월 문을 열어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방식은 간단하다. 증권사 또는 선물사에서 계좌를 개설하면 홈트레이딩서비스(HTS)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다. 한국거래소가 KRX 금시장 장점 지정한 업체가 생산·수입하고, 한국조폐공사의 품질인증을 통과한 순도 99.99%의 금만 거래되기 때문에 믿을 수 있다. 매매 최소 단위가 1g이기 때문에 소액 투자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고, 매입한 금은 한국예탁결제원이 보관해준다. 1kg 단위로 현물로 인출도 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세제 혜택이다. 장내 거래 때 부가가치세를 면제(현물 인출 때 10% 부과)해준다. 양도 차익에 따른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증권사 등에 내는 위탁수수료(0.2~0.4%)가 있지만 다른 금융상품에 비하면 저렴한 편이다. 간접 투자법도 있다. 금 통장(골드뱅킹)이 대표적이다. 실물거래 없이 돈 대신 금을 통장에 적립하는 방식이다. 적금처럼 돈을 붓고, 그 시점의 금 시세에 따라 금이 쌓이는 개념인데 금값이 오르면 그만큼 차익을 얻을 수 있다. 통장에도 적립한 금액이 아닌 그램(g)이 찍힌다. 금 통장에서 중요한 건 환율이다. 국제 금 시세를 적용하고, 달러로 거래하기 때문인데 금값이 많이 올라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실제 상승한 것보다 수익률이 낮을 수 있다. 실물을 구입하는 것보다 적은 돈으로 금에 투자할 수 있고,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고위험 상품에 속하고, 예금자보호법의 적용도 받지 못한다. 금 펀드도 있다. 금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와 국제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는 파생형 상품으로 나뉜다. 소액투자자가 매월 적립식으로 투자하기 좋아 포트폴리오 분산 차원에선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그러나 금통장과 마찬가지로 이익에 세금(15.4%)이 붙는다. 최근엔 금 선물과 연동하는 레버리지 상품도 나왔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내놓은 ‘KINDEX골드선물레버리지ETF’다. 동경상품거래소 골드선물지수(USD)의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는 상품인데, 달러 환헤지 상품이라 환변동에 관계없이 국제 금 시세에만 관심을 가지면 된다. 상장 첫날 33억원의 자금이 몰리며 큰 관심을 받았다. 다만, 추종하는 지수의 변동폭보다 수익과 손실 범위가 넓은 레버리지 ETF인 만큼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금융상품과 달리 금은 간접 투자의 매력이 그리 크지 않다. 어차피 오르고 내리는 것만 맞추면 되는 ‘2분의 1 확률 게임’이라고 생각한다면 굳이 수수료와 세금을 낼 이유가 없다. 5000만원을 투자해 골드바 하나를 사서 1억원이 됐더라도 차익 5000만원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는다. 반면 금 펀드에 가입해 5000만원의 수익을 냈다면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야 한다. 펀드 수수료도 만만치 않다. 기왕 오를 거란 확신이 들었 다면 직접 사는 게 훨씬 남는 장사란 의미다. - 장원석 기자 [email protected]

좋아요( 0 ) 콘텐트 구매안내 목록보기

KRX 금시장 장점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UPDATED. 2022-08-02 14:16 (화)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박효선 기자
    • 승인 2019.11.01 09:09
    • 최종수정 2019.10.31 18:15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KRX 금시장 장점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제공=한국거래소

      [인포스탁데일리=박효선 기자] 한국거래소는 삼성증권이 발행하는 ‘삼성 KRX 금현물 ETN’을 다음달 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고 31일 밝혔다.

      ‘삼성 KRX 금현물 ETN’은 KRX 금시장에서 금 현물(1kg)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최초 ETP(상장지수상품)로 KRX 금현물지수 수익률을 1배수로 추종하며 금 현물 시장의 일별 가격수익률에서 실물 보관에 따른 보관비용을 차감한다. 이 상품의 만기일은 2039년 10월 28일, 상장원본액은 200억원이며 연간 제비용은 0.60%다.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기존 상품은 수익률에서 롤오버(만기 연장) 비용이 차감되지만 이 상품은 롤오버 비용이 없다. 금 현물 직접투자와 달리 거래 가능 증권사의 제약이나 별도 계좌 개설 의무 등이 KRX 금시장 장점 없어 보다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단, 이 상품은 KRX 금시장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KRX 금시장을 통한 금 현물 직접투자와 거래, 과세 방식 등에 있어 차이가 있다.

      또한 ETN은 증권회사 신용위험이 있는 무보증‧무담보 상품이므로 투자 시 발행사 재무건전성 관련 정보도 확인해야 한다. 발행사 신용등급, 순자본비율 등의 재무 정보는 거래소 홈페이지나 공시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