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보안 관련 취업정보
및 고객 보안요구(Audit) 대응 사업장 보안진단 및 평가를 통한 보안수준 상향 평준화 물리 보안 시스템/프로세스 설계 및 운영(M&A, J/V 등) 사업장 IT/ 보안 관리 전반(시스템/인프라/네트워크 등) IT/ 보안 취약점.
- LG화학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영등포구 지역 취업 검색
금융 금융 보안 분야 경력
개발 가능 인력 - 모바일 금융(앱/웹)/인터넷 금융( 금융상품, 금융거래, 인증 등) 구축 - 페이, 간편송금/이체, 오픈뱅킹 등 구축 - 전자 금융 업무. 금융사 실무 업무 경험 ③ 금융사 및 디지털 관련 컨설팅 경험 ( 금융.
- LG CNS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지역 취업 검색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개발
보안 취약점, 공격 분석이 가능하신 분 - 블록체인 백엔드 서비스 구축(node.js, RPC) 경험이 있으신 분 - 비지니스 수준의 영어 가능하신 분 - 금융권 및 핀테크 프로젝트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 - 전산.
- 넷마블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구로구 지역 취업 검색
[EY컨설팅] 금융컨설팅본부 금융 사이버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컨설턴트 경력직 모집
EY컨설팅] 금융컨설팅본부 금융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컨설턴트 경력직 모집 [모집 분야] - 금융권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컨설턴트 경력. 자는 관련법에 의거하여 우대함 - 보안 사항에 의해 메일 수신확인이 되지.
- EY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영등포구 지역 취업 검색
- 급여 조회: [EY컨설팅] 금융컨설팅본부 금융 사이버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컨설턴트 경력직 모집
정보보안담당 신입/경력 채용
보안 솔루션 운영 수행 ㆍ정보보호 취약점 관리 : 위협분석 및 대응, 보안. 신공학, 정보 보안, 융합 보안, 컴퓨터공학 등 ㆍ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자 [우대요건] ㆍ정보보호시스템 운영 경험자 ㆍ 금융권 정보보호 업무 경험.
- KIS정보통신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가산동 지역 취업 검색
- 급여 조회: 서울 가산동 지역 정보보안담당 신입/경력 채용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영입
수탁사 관리 업무를 담당해요.• 금융권 정보보호 실태 점검 대응 및 감독기. 모바일·게임>통신·모바일> 보안|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네트워크·서버· 보안>정보 보안|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네트워크·서버· 보안> 보안관제
- 카카오페이증권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성남 분당구 지역 취업 검색
보안장비 운영관리
게이트웨이 - Splunk - 보안 관련 비즈니스 업무 지원 - 보안 관련 프로젝트 지원 4. 자격 요건 - 보안 금융 보안 장비 특히 방화벽, 프록시 관련. 시스템 운영 경험 우대사항> - 금융권 보안 운영 시스템 관리 경험자.
- Citi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인천 지역 취업 검색
- Citi에 관한 인기 있는 질문과 답변 보기
정보보호 담당자 영입
업무 경험 보유자ㆍ 금융회사 및 전자 금융업계 보안담당자 또는 정보보호 전문업체에서 전자 금융 관련 업무 경력 보유ㆍ 보안성 심의 및 전자 금융 기반시설 취약. 보안>정보 보안|인터넷·IT·통신·모바일·게임>네트워크·서버· 보안> 보안관제.
- 캐롯 취업정보 전체 검색 - 서울 중구 지역 취업 검색
상반기 수시채용[정보보안]
보안솔루션 구축 및 운영 - 보안성 검토 및 취약점 진단 관리 [필수요건] - 정보 보안 및 전산 관련 학과 졸업자 - 보안인증 및 보안감사 업무 유경험자 [우대요건] - 보안관련 자격증(CISSP, CISA, 정보 보안기사.
금융 보안
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Offcanvas
1111Some text as placeholder. In real life you can have the elements you have chosen. Like, text, images, lists, etc.
금융보안연구원
인터뷰 | 금융보안연 장재환 팀장 “모바일 보안, 해외와 동일한 위협”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 확산으로 모바일 금융이 전례없는 관심을 모으고 있다. 주요 금융기관들은 스마트폰 전용 모바일 앱을 내놓으며 이런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금융 거래 환경인만큼 새로운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 또한 적지 않다. 금융보안연구원 u-금융연구팀 장재환 팀장으로부터 모바일 금융 관련 보안의 문제와 전망을 들어본다. 장재환 팀장은 차세대 전자금융환경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대응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모바일 뱅킹 및 모바일 오피스에 대한 보안강화 방안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에서의 전자금융위협 등이다. 참고로 금융보안연구원 장재환 팀장은 오는 5월 12일 개최되는 한국 IDG 파이낸스 IT 월드 2011 컨퍼런스에 연사로 참여해 “모바일 전자금융 보안 이슈와 향후 전망”이란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금융 보안 행사는 “Move on to Smart Finance"란 주제로 개최되는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을 비롯한 국내외 금융 IT 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IT 보안 정책부터 스마트 금융을 위한 IT 전략까지 금융업계 핫이슈를 점검할 예정이다. 최근 금융권 보안의 최대 이슈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IT 전체의 화두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이 최대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고도화된 보안위협(APT)과 모바일 금융 보안 오피스 확산에 따른 위협,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피싱, 해킹 역시 중요한 이슈라고 볼 수 있다 모바일 금융의 발전과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하는 보안 기술의 발전 속도는 어떤가? 현재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전자금융거래의 보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PC 수준으로 적용해 보안을 강화하고자 했으며, 악성코드 탐지, 구간 암호화, 가상 키보드 적용, .
금융 보안
250만원, 고반발 금장 아이언세트, '60만원'대 72% 할인 판매!
금융보안원이디지털 금융보안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올해 총 82개 교육과정을 운영, 연간 90만 명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
금융보안원은 금융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금융 사이버 위협 지능화·고도화, 금융과 혁신 기술 융합 등에 따라 필요한 인력을 집중 양성한다.
금융권의 다양한 금융보안 교육 수요를 반영해 △관리·실무·맞춤 역량 △보안기술 금융 보안 △컴플라이언스 △금융보안 자격제도(금융보안관리사) 등 금융회사 임직원 계층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특히 올해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마이데이터 등 총 16개 혁신 기술 과정을 신설해 금융의 디지털 전환 및 데이터 혁신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또, 금융사 경영진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넥스트 노멀 준비에 필요한 정보보호보안 전략, 디지털 금융 혁신 정책기술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제6기 금융보안 최고위 과정도 운영한다.
김철웅 금융보안원 원장은 “금융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데이터 혁신의 본격화에 따라 어느 때보다 디지털 금융보안 및 데이터보호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 확보가 중요해졌다”며 “금융산업과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금융보안 전문인력을 집중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보안원,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기관 재지정
금융보안원은 국내 유일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민간 인증기관으로 금융분야에 특화된 심사∙인증 수행 중이다.
금융보안원은 2015년에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아 최초로 총 26건 인증을 수행, 이듬해부터 금융권 전반으로 인증을 확대했다.
2020~2021년, 금융권 전체 인증 건수 증가했다. 데이터 3법 개정 및 개인(신용)정보보호 중요성 증대로 인해 ISMS-P 인증이 대폭 증가, 지난해에는 보험업권에서 ISMS-P 인증을 최초 취득했다.
- 금융보안원, 2022년 하반기 신입직원 채용 시작
- 금융보안원 “금융보안의 미래를 함께한다"…금융보안자문위원회 개최
현재 은행∙금융투자∙보험∙카드∙전자금융업자 등 다양한 업권에서 총 86개 금융회사가 97개의 ISMS∙ISMS-P 인증을 취득했다.
금융보안원은 올해 총 106건(ISMS-P 인증 29건 포함)의 인증 심사를 수행할 금융 보안 예정이다. 개인정보 보호법 등 개정 법령을 반영하는 등 금융분야 인증 심사 시 점검항목을 개정해 이달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김철웅 금융보안원장은 “금융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금융 환경을 조성하고 금융데이터가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금융권 전사적인 자율보안체계 금융 보안 확립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금융 보안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최지혜 기자
- 승인 2021.02.01 17:59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금융보안원은 1일 금융·공공·통신·보안 등 범금융권이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금융보안원의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과 피싱 사이트, 보이스피싱 악성 앱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해 보이스피싱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금융보안원 외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SK텔레콤, 후후앤컴퍼니, 안랩 등 공공·통신·보안 분야 전문기관과 업체가 참여해 보이스피싱 정보 수집과 범죄 사기 대응에 협력한다. 참여기관 수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금융보안원은 이번 시스템을 통해 범금융권이 보이스피싱 사기에 대응해 유기적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선제적 예방과 피해 확산 방지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영기 금융보안원장은 "보이스피싱은 피해자 대부분이 저신용자·고령자 등 사회 취약계층으로 악성 범죄인 만큼 범금융권 차원에서 정보공유와 대응 금융 보안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다양한 분야 전문기관과의 정보공유 및 대응 협력을 확대하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에 대한 예방·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0 개 댓글